
운동에 근육이 어떻게 작용하는가에 대한 분석은 전공 기초과목의 내용보다 폭넓은 물리학의 지식이 요구된다. 보행을 만드는 내적 힘 분석과 걸을 때마다 저항을 주는 외적 힘 분석이 있다. 보행시 에너지는 어떻게 소비되며 신체 질량중심 이동에 대해 알아본다.보행의 운동역학 (Kinetics)외적 힘에는 중력, 마찰, 관성 등이 있고 내적 힘에는 관절주머니, 힘줄, 인대와 같은 결합조직과 근육의 힘이 있다. 신체가 움직이지 않을 때, 근육에 의해 발생되는 각 관절의 토크(torque)는 중력에 의해 발생되는 토크에 의해 균형이 유지된다. 또한 각 근섬유의 활동은 길이-장력관계와 견인각 (angle of pull) 및 지레팔에 의해 결정된다. 반면에 신체가 운동 중에 있을 때 이들 요인들과 함께 각 근섬유에 의해..

이동의 운동학은 신체 위에 표시점으로 머리의 정점, 장골능, 관절중심, 뼈의 장축에 표시하여 그 점의 움직임을 기록함으로써 연구할 수 있다. 이들 표시점의 움직임 경로를 시상면, 전두면, 수평면에 투영시키면 3차원의 기록이 얻어진다.시상면 보행운동 보행 주기에서 신체의 수직진동(vertical oscillations)은 시상면에서 2 회 관찰된다. 이 점들은 각 하지의 중간입각기 때 가장 높고 양하지 지지기에서 가장 낮게 되는 완만한 싸인곡선을 만든다. 신체 중심(S2)의 진동은 2~5cm로 보폭과 보행속도에 달려 있다. 시상면에서 고관절, 무릎관절, 발목관절의 큰 각운동(angular motion)이 일어난다. 골반은 정상적인 속력으로 걷는 동안 골반의 전방경사와 후방경사의 양은 작으며 단지 평균 3도..

보행(걷기)은 연속적인 움직임들이 주기적으로 일어난 결과이다. 이것은 보행에 가장 기본적인 단위인 보행주기(gait cycle)에 대한 설명이 된다. 보행주기는 발이 지면에 접촉하는 순간부터 시작해서 다시 지면에 닿는 시점까지이다. 보행속력과 보행주기의 주요한 두단계를 알아본다.보행주기 (Gait Cycle)발의 접촉은 일반적으로 발뒤꿈치부터 만들어지기 때문에, 보행주기의 시작 또는 0% 지점을 발뒤꿈치 닿기(heel contact, heel strike)라 한다. 보행주기의 완료 또는 100% 지점은 같은 발이 다시 지면과 접촉할 때 일어난다. 활보(stride, 보행주기)는 한쪽 발 뒤꿈치 닿기에서부터 또다시 같은 쪽 발뒤꿈치 닿기까지의 동작을 말한다. 따라서 활보길이(stride length, 한 ..

근육수축 유형운동을 하거나 인체 분절을 안정시키는 개개 근육 또는 근군은 그 근육이 수축중인지 또는 이완되어 있는지 촉지함으로써 검사한다. 근육의 촉지는 완전하게 배워야 할 중요한 임상 기술이지만 촉지의 검사결과가 모든 근 기능을 말하는데 제한이 있다. 근 섬유의 활성화는 근 섬유막의 탈분극(depolarization), 재분극 (repolarization)과 관련이 있기 때문에 근육을 덮고 있는 피부에 부착한(또는 근육에 삽입한) 기록도자는 활동전위의 전도에 의하여 발생되는 전기장내의 작은 변화를 감지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표면도자, 바늘도자, 또는 내재 된 철선도자를 사용하여 정보를 모으는 것을 근전도(electromyography: EMG)라 부른다.어떤 특정의 운동을 하는 동안 또는 관절이 어떤..

무게와 중력 중심(Weight and Center Of Gravity)체중의 작용선은 항상 수직이고 인체의 중심에 작용한다. 중심은 물체를 구성하는 모든 입자들이 평형을 유지하는 인체의 한 점으로 정의한다. 이 점에 인체를 매달게 되면 인체는 완전히 균형을 유지한다. 인체는 전 질량이 이 중심에 작용하는 것처럼 반응한다.안정(Stable) 된 평형상태는 물체의 중심 위치가 변할 때 물체가 원래 위치로 되돌아가려는 경향이 있을 때 그 물체를 말한다. 예를 들어 벽돌의 한쪽을 약간 들어 올린다거나 흔들의자에 앉아 있는 사람을 밀거나 할 때 볼 수 있다. 중심이 원래의 위치로 돌아가지 않고 다른 새로운 위치를 찾는다면 그 물체를 불안정( Unstable)한 평형 상태라 한다. 좁은 기저를 가진 의자에 앉아 있..

회전운동과 병진운동(Rotary and Translatory Motion)관절면의 모양이나 일치성이 관절에서 발생되는 운동을 결정한다. 축을 중심으로 일어나는 운동을 역학에서는 회전운동(rotary motion), 각운동(angular motion), 혹은 회전(rotation)이라 명명한다. 회전운동은 고정된 운동축에 대하여 일어나는 운동이다.이 운동은 관절에 인접한 지절 위에 놓여 있는 모든 점이 원의 호를 따르기 때문에 회전운동이라 부르고 원의 중심(中心)이 관절의 축에 해당한다. 그리하여 주관절의 굴곡과 신전에서 전완(상완 혹은 양쪽)은 주관절에 대하여 회전한다. 지절 위의 각 점은 속도가 서로 다르고 각 점의 속도는 운동축에서의 거리와 관계가 있다. 어깨를 축으로 팔을 앞뒤로 흔들 경우 회전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