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본자세의 선 자세는 차렷 상태로 서거나 "바로 서"하고 지시할 때 취하는 자세이다. 몸중심은 후방으로 이동되고 측연선은 귀, 견관절의 끝부분, 고관절 및 무릎관절의 중간 부분, 그리고 발목관절의 축에 근접해서 통과한다. 이 자세는 부자연스러운 자세로 자세 유지를 위하여 의식적 노력이 요구되며 근수축 및 에너지 소모가 증가한다. 이상적인 자세와 비대칭자세 자세의 불안정성을 알아보자.기본자세이상적인 정렬 상태의 머리와 목을 보면 머리의 균형이 잡힌 상태에서는 최소한의 근육 작용만으로도 유지할 수 있다. 측면에서, 기준선이 귓불과 일치하고 목은 전방으로 완만한 곡선을 이룬다. 후면에서, 기준선이 머리 중심선과 경추 극돌기와 일치한다. 머리는 상방이나 하방으로 기울지 않고, 양옆으로 기울지 않음은 물론 회전하..

자세평가의 중요성자세를 평가할 때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사항을 고려해야 한다. 어떤 스트레스적인 원인이 대상자의 몸에서 자세 뒤틀림을 형성하였을까? 그 요인을 통해서 대상자의 자세와 증상과 상관 관계를 살펴볼 수 있다. 무엇이 자세 뒤틀림을 유발하였는가? 구체적인 예를 들자면, 어떤 활동이나 습관, 행동 양상이 이런 자세 뒤틀림을 야기했을까? 활동이나 버릇, 행동 양상을 통해서 어떻게 이런 자세 뒤틀림이 처음 유발되었는지 알 수 있다. 그리고 추후에 발생할 수 있는, 처음보다 악화될 수도 있는 자세 뒤틀림을 예방하기 위해, 대상자에게 일상생활에서 취할 좋은 자세에 대해 조언해 줄 수 있다.관상면과 시상면의 자세 뒤틀림뒤쪽에서 볼 때 이상적인 자세에서 벗어나 보인다면, 대상자가 관상면에서의 자세가 뒤틀렸다..

자세(posture)는 위치(position)를 의미한다. 인체가 취하는 자세는 중요하다. 왜냐하면 적당히 자세를 취하고 유지할 때 신체조직에 스트레스가 가해지기 때문이다. 근육은 일을 해야만 하므로 스트레스를 받을 수 있다.인대와 관절주머니 그리고 다른 인체의 연부 조직들은 그들에게 가해졌던 힘을 다른 조직들에 전하면서 스트레스를 유발한다. 바른자세에 검진에는 어떤 원칙이 있는지 알아보자.시상(정중)면에서 자세 검진보통 서 있는 상태에서 자세 분석이 이루어진다. 비록 서 있는 상태가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기는 하지만 그 가치는 제한될 수 있다. 어떤 자세에 대한 분석은 대상자들이 특정 자세로 대부분의 시간을 보낼 때에만 의미를 갖게 된다. 따라서 대상자가 하루의 대부분의 시간을 책상이나 컴퓨터 앞에 앉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