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인의 독립적인 움직임에서 앉기, 서기, 걷기를 할 때 자세와 균형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자세와 균형에 관한연구는 많은 시간 동안 진행되었고, 앞으로도 계속 연구할 주제이다. 지금까지 연구의 근거하여 자세조절의 정의와 환경에 따른 필요요건은 무엇이며 정적 기립자세를 위한 자세조절을 알아보자.자세조절의 정의 (Defining postural control)개인이 자세조절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자세조절 과제를 이해하고 그 과제에 대해서 환경이 미치는 영향을 조사해야 한다.자세조절(postural control)은 공간에서 안정성(stability)과 정위(orientation)라고도 불리는 방향성 두 가지 목적을 위해 신체의 자세를 조절하는 것과 연관이 있다. 자세방향성(정위, postural orientat..

걷기에서 지면에 처음 닿을 때는 발뒤꿈치를 사용하지만, 달리기에서는 좀 더 다양성을 갖게 된다. 지면과 처음 접촉하는 발의 부분을 발치기(foot strike)라 한다. 발치기는 3가지의 방식인 발뒤부치기(rearfoot strike), 발중간부치기(midfoot strike), 발앞부치기(forefoot strike)로 일어난다. 압력중심의 위치가 어떤 발치기를 사용했는가를 결정하게 된다. 이마면에서 체간, 골반, 고관절, 슬관절, 족관절의 운동형상을 알아보자.체간과 골반 운동형상 이마(관상)면(frontal plane)에서 체간 회전운동은 외측굴곡(lateral flexion)이라 말한다. 요천추접합부(lumbosacral junction)에 위치한 전후축에서 일어난다. 달리기 동안, 수직면에 대해 ..

달리기와 걷기는 관절동작에 유사성이 많다. 보통 운동형상의 양상은 같지만 동작의 크기와 시기가 다르다. 달리기의 특성을 측정하기 위해 대상자가 직접 달리는 동작을 동영상으로 찍어 시각적 관찰로 평가한다.체간-골반 운동형상달리기 할 때 시상면의 각운동이 체간 전체로 움직이지만, 내외측 회전축은 요천추접합부 (lumbosacral junction)를 통과한다고 짐작한다. 체간의 굴곡과 신전으로 서술되는 시상면에서의 체간 각도는 다른 신체 분절과는 다르게 수직면(vertical plane)으로 정의된다. 중립위치(0도)는 수직 상태를 말하고, 체간의 굴곡은 전방으로 회전운동을 말한다. 체간의 신전은 후방의 회전운동을 표현한다. 한걸음주기 내내 체간은 약 5~10도 정도 굴곡과 신전을 하고, 평균적으로 2~13..

관절의 결합조직이 조직적으로 변화하는데 연관된 요인에는 노화가 있다. 노화는 개인에 따라 다르다. 관절의 결합조직은 장기간 고정될때 영향을 받는다. 또한 급성 외상으로 조직이 손상을 입으면 관절기능에 영향을 끼친다. 관절 기능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알아보자.관절 노화 관절노화는 결합조직에서의 조직학적 변화와 연관되며, 이러한 변화는 관절 기능의 역학적 변화를 초래하게 된다. 조직 노화의 속도와 과정은 매우 개인적인 것이며 활동의 유형과 빈도 그리고 많은 의학적 인자들과 영양 인자들에 의해 긍정적 또는 부정적으로 바뀔 수 있다. 노화는 섬유와 글리코오스아미노글리칸(GAG)의 교체와 회복에 있어 속도를 느리게 한다. 미세외상은 구조적 파손이나 역학적 특성에서 중요한 변화로 진행될 수 있는 무증상적 손상을 ..

관절의 분류, 구조, 기능에 대한 관절학은 운동학 전반적인 연구를 위한 중요한 토대가 된다. 외상, 노화, 장기간 고정, 질환은 관절의 구조와 기능에 영향을 준다. 관절의 해부학적 구조와 기능을 알아본다.관절의 유형관절의 유형에 따라 부동관절, 반관절, 가동관절로 분류한다. 부동관절(synarthrosis)은 불규칙성 치밀결합조직에 의해 뼈들이 서로 연결을 이룬다. 비교적 단단한 이러한 연결은 움직임이 없거나 아주 작은 움직임을 허용한다. 부동관절의 예로는 두개골의 봉합, 상악골과 하악골에 박혀있는 치아, 원위 경비관절, 그리고 전완과 하퇴의 골간막을 들 수 있다.부동관절의 기능은 뼈들을 서로 결합시키고, 한 뼈에서 최소한의 관절운동을 갖는 다음 뼈로 힘을 전달시키는 것이다. 부동관절은 상대적으로 큰 접..

신체 움직임을 가능하도록 몸을 구성하는 구조는 다양하다. 두개 또는 그 이상의 뼈들 사이를 연결하거나 중심점을 관절이라 한다.외부의 중력과 내부의 근작용에 의해 발생한 힘을 전달하고 분산시키는 기능을 한다. 관절을 이루는 구성요소를 알아본다.뼈뼈(bone)는 신체에 대한 단단한 지지를 제공하고 신체의 근육에 대한 지레 시스템을 제공한다. 성인 골격에 있어 장골의 외측 피질은 두꺼운 치밀피질골로 구성된 골간(shaft)을 갖고 있다. 그러나 장골의 끝은 서로 연결된 해면골의 망상구조를 덮는 얇은 층의 치밀골이 놓여 있다. 척추와 같은 성인의 축골격(axial skeleton)의 뼈들은 해면골의 속을 지지하기 위해 그 속이 꽉 차 있는 치밀골의 바깥쪽 껍질을 갖고 있다. 뼈의 기질에는 인산칼슘 결정체를 함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