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움직임을 연구하는 운동학은 동물의 움직임과 인간의 유희로부터 발전되었다. 어떻게 인간은 걸을 수 있을까? 어떻게 물고기는 수영할 수 있을까? 어떻게 새는 날 수 있을까? 근력의 한계는? 이러한 질문에 대답을 구하기 시작하면서부터 해부학, 생리학, 심리학, 인류학과 역학의 원리와 이론을 결합하여 운동학이 발전되었다.운동학 용어( Kinesiology Terminology)움직임은 운동학의 본질이다. 움직임안에 인간의 움직임( Human Movement)을 상세하게 설명하는 두 가지 용어가 운동역학(Kinetics)과 운동형상학(Kinematics)이다.우리가 사용하는 용어의 대부분은 인체의 움직임과 관련된 두 가지의 연구들 중 하나로부터 유래되었다. 운동역학은 움직임을 일으키거나 억제하는 힘에 초점을 맞춘..

신체의 토크 (TORQUE)신체의 근육에서 생산된 힘은 병진운동과 회전운동을 만든다. 신체마디를 선형으로 움직이고 또한 관절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일정한 거리에서 관절회전을 만든다. 모멘트팔 (moment arm)이란 회전축과 힘 사이의 가장 짧은 거리를 말한다.힘과 모멘트 팔을 곱한 것이 토크(torque) 또는 모멘트(moment)이다. 힘은 물건을 선형의 방식으로 밀거나 당기는 반면, 토크는 물건(신체)을 회전축에 대해 회전시킨다. 토크는 지레계를 회전시키는 힘의 효과를 표현한다. 회전축에 대해 운동면 내에서 일어나는 내적 힘과 외적 힘이 시상면 내에서 생산되는 것이 토크다. 내적 토크 (internal torque)는 내적 힘(근육)과 내적인 모멘트 팔을 곱한 것으로 정의되며 내적인 모멘트팔(int..

운동역학운동역학(kinetics)은 물체에 대한 힘의 효과를 설명하는 역학의 한 장르이다. 운동역학을 근골격계에 적용하면 생체역학이라 한다. 운동학적 관점에서 힘(force)은 움직임을 만들 수 있거나, 정지시키거나 변화할 수 있는 "밀기(push)나 당김(pull)"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신체의 움직임이나 안전성을 위한 궁극적인 운동력을 제공하게 된다. 뉴턴의 제2법칙에서 설명처럼, 힘(F)의 양은 밀기나 당김을 받는 질량(m)에 그 질량의 가속도(a)를 곱한 결과로써 측정한다. 따라서 F=ma라는 공식을 만들 수 있으며 일정한 질량이 주어졌다면 힘은 그 질량의 가속도에 정비례 관계에 있고 힘을 측정함으로써 가속도를 산출할 수 있거나 가속도를 측정함으로써 힘을 산출할 수 있게 된다. 질량의 가속도..

힘(FORCES)힘이 생활 속에 나타나는 단순한 현상은 밀거나(압박 : compression), 당기는(긴장: tension) 것이다. 밀거나 당기는 것을 한 번에 보는 것은 줄다리기에서 볼 수가 있다. 양쪽이 같은 힘으로 서로 줄을 당기면 줄의 이동은 움직이지 않는다. 줄은 균형을 유지하거나 혹은 평형상태에 놓인다. 어느 한쪽이 강하면 힘의 균형이 무너지고 줄의 이동이 일어난다. 양쪽은 다리로 땅을 밀게 되고 땅은 그들의 발을 뒤로 밀게 된다. 작용 반작용이라 한다. 이러한 힘을 내기 위하여 줄다리기 사람들은 손과 발 사이의 모든 관절에서 최대로 밀거나 당기게 된다. 또한 체중에 작용하는 중력의 효과를 활용하기 위하여 몸을 뒤로 비스듬하게 만든다. 또한 손과 발에서 마찰력의 중요성을 볼 수 있는데 손이..

전방 굴곡자세 (Forward Flexion) 평가검사자는 정상적인 선자세를 평가한 후에 환자에게 수직으로 양손을 앞으로 해서 엉덩관절에서 앞쪽으로 굽히도록 요구한다(그림 전방굴곡). 발은 함께 모으고, 양 무릎은 똑바로 하게 한다. 이 자세의 어떠한 변화는 잘못된 관점에서 척추의 돌림을 유발할 것이다.이 자세에서 앞쪽과 뒤쪽 종달새상(skyline view)을 이용하여 검사자는 다음의 내용들을 주의하여 검사를 할 수 있다. 1. 척추 근육구조에 어떤 비대칭이 있는지 아닌지 확인한다. 2. 흉곽(rib cage)의 어떤 비대칭이 있는지(예: 갈비뼈 구부러짐) 아닌지, 만약 튀어나온 등이 있다면, 튀어나 온 등과 움푹 꺼진 등 사이의 직각 거리를 얻기 위해 높이와 테이프 측정을 이용할 수도 있다. 3. 병..

측면상 (Lateral View) 자세 평가측면상 자세평가는 환자를 측면에서 관찰할 때 볼 수 있는 정상적인 자세와 비정상적인 기울어짐을 나타낸다.검사자는 측면에서 다음과 같은 조건이 있는지를 주의하여 확인한다.귓불은 어깨의 견봉돌기와 골반능의 높은 점을 지나는 선위에 위치한다. 이 선이 앞뒤를 반으로 나누는 측면기준선이 된다. 만약 턱이 앞으로 튀어나와 있다면, 과다한 요추전만증(lumbar lordosis)이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보상적인 변화는 정상적인 위치에서 중력중심을 유지하기 위한 신체작용으로 유발된다. 각 척추마디는 정상적인 곡선을 가지고 있다. 대둔근 gluteus maximus)이나 또는 과다한 배 지방은 과도한 척추전만증을 일으킬 수 있다. 검사자는 대둔근 때문인지 아니면 천골과 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