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누구나 보행을 한다. 하지만 보행을 위한 기능에는 다양하고 복잡하다. 1세 때의 어리숙하게 서는 자세부터 한 발 떼기로 시작해서 보행동작은 7세가 되어야 성숙해진다. 아동보행 패턴, 성인보행 패턴, 그리고 노인보행 패턴을 보면서 보행의 변화를 알아본다.아동보행 (Immature Walking)아동의 보행 패턴은 성인의 성숙 보행과 완전히 다르다. 일반적으로 독립 보행을 하는 평균 연령은 11~15개월이다. 아동은 넓은 기저면을 이용하고, 슬관절을 이용하지 않고 고관절을 먼저 이용해 다리를 내딛는다. 초기접지기는 발바닥 전체를 이용하고, 고관절의 외회전이 뚜렷하다. 아동의 보행은 성인에 비해 양하지 지지기가 길고, 짧은 걸음을 띤다. 아동이 보행을 시작할 때, 팔을 이용해 균형을 잡는다.연구자들에 따르면..

보행 동안, 발 밑에서 적용된 지면반력들은 하지 관절들에 대한 외적인 토크를 발생시킨다. 부하반응기 동안 지면반발력들의 작용선으로 족관절 후방, 슬관절 후방, 고관절 전방은 족관절 저측굴곡, 슬관절 굴곡, 그리고 고관절굴곡을 발생한다.관절토크와 관절파워하지의 붕괴를 막기 위해, 이러한 외적인 토크들은 족관절 배측굴곡근, 슬관절 신전근, 그리고 고관절 신전근에 의해 생산된 내적인 관절 토크들에 의해 저항을 받게 된다. 정적인 평형상태에 있다고 가정되었을 때 단순한 분석으로 가능하다. 하지만 보행 동안 일어난 관절 토크들의 계산은 역동적인 접근법(inverse dynamic approach)을 사용한다. 이 접근법은 작용의 동적 특성을 고려한 것으로 각 분절의 질량, 분절의 질량중심 위치, 그리고 분절 질량..

정상보행과 병적보행을 이해하는데 있어 보행 동안 움직임을 일으키는 힘들을 이해하는 것은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보행의 운동역학(힘의 연구)은 시각적으로 관찰할 수 없지만,관찰된 운동형상학으로 이러한 운동역학의 원인을 알 수 있다.지면반발력의 수직방향 힘보행 동안, 사람이 걸음을 걸을 때마다 발바닥 아래에 적용 되는 힘들이 있다. 발에 의해 지면으로 적용된 힘들을 족력(foot force)들이라 부른다. 지면에 의해 발에 적용된 힘들을 지면(또는 바닥)반발력(ground reaction force)들이라 부른다. 이러한 힘들은 크기는 같으나 방향이 반대이다 (뉴턴의 제3법칙 - 작용과 반작용의 법칙 - 크기는 같고 방향은 반대로 향하고 있는 항상 쌍으로 된 힘들이 존재한다는 법칙). 지면반력들에 대한 설..

정상보행시 슬관절의 근육활동과 족관절활동이 어떻게 이뤄지며 신체의 질량중심 변화에 따른 에너지 이동을 알아본다. 슬관절 근육보행 동안 슬관절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두 개의 근육군은 슬관절 굴곡들과 슬관절 신전근들이다.슬관절 신전근 중 하나의 근육군인 대퇴사두근은 발뒤꿈치 닿기를 위한 준비로서 유각기의 가장 후반기에 활동하게 된다. 이 근육의 중요한 활동은 발뒤꿈치 닿기 직후에 일어난다. 이 대퇴사두근의 기능은 보행주기의 첫 10% 지점에서 일어난 슬관절 굴곡을 조절하는 것이다. 원심성 활성을 통해 하지에 적용되는 체중수용의 속도를 완화시켜 주면서 (즉 충격흡수) 과도한 슬관절 굴곡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그런 후, 대퇴사두근은 슬관절을 신전시키기 위해 구심성으로 수축하면서 중간입각기 동안..

보행주기에서 체간, 상지,하지 근육의 활동을 알아본다. 근육이 하나의 유기체로서 신경지배를 받아 굴곡, 신전을 중심으로 기능한다. 체간근육 활동보행주기에서 체간근육인 횡극근, 척주기립근, 요방형근은 근육 활동을 나타낸다. 대부분의 연구자들은 동측과 반대측 뒤꿈치 닿기에서 근육활동을 관찰하였다. 이 근육은 뒤꿈치 닿기에서 체간의 감속작용이 일어날 때 굴곡토크에 저항한다. 보행에서 복직근(rectus abdominis) 및 내·외복사근(internal and external oblique)의 근전도 활동에 관한 기록은 다양하다.천천히 보행하는 동안 이들 근육은 미세전극을 이용한 검사에서 비활동적임을 입증하였다. 자연스런 보행속도에서 복직근은 측정 대상자의 50%에서 비활동적이고, 나머지에서는 뒤꿈치 닿기 전..

하지근육이 보행주기 동안 한 두 번 정도의 짧은 전기적 활동을 보인다. 근육의 EMG 활동 수치가 안정수치보다 높을 때 근육은 ON 상태라 하고 그렇지 않다면 OFF 상태에 있다고 한다. 임상가는 근육의 활동 상태가 언제인지 알게 되어 고관절의 신전근, 굴곡근, 내외전근, 회선의 근육의 활동기능을 치료에 적용한다.고관절 신전근 활동정상적인 보행 동안 고관절에서 고관절 신전근, 굴곡근, 외전근 3가지의 근육이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고관절 신전근에는 대둔근 및 슬괵근이 있고, 고관절 굴곡근에는 장골근 및 요근(psoas)이 있고, 외전근에는 중둔근 및 소둔근이 있다. 고관절 내전근과 회선근의 역할은 따로 설명한다. 고관절을 신전시키는 근육은 대둔근(특히 하부섬유), 슬괵근, 그리고 고관절이 굴곡되었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