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관찰(Observation)외형 관찰은 자세를 평가하는 필수 방법으로 모든 평가에 포함시켜야 하고, 비대칭적인 변화들을 보고 관련된 인자 또는 잘못된 자세를 알 수 있다. 정적자세에 대한 부분들은 동적자세의 기초가 된다(예: 걷기, 뛰기, 물건 들기, 던지기).자세를 정확히 평가하기 위해 환자는 맨살이 드러나게 한다. 남성 환자는 팬티를 입게 하고, 여성 환자는 팬티와 브라만 입게 한다. 또한 환자에게 신발이나 스타킹을 벗게 한다. 하지만 환자가 보행 보조기구, 보조기, 칼라(collars) 또는 다른 보장구를 사용하고 있다면 장비들의 효과를 결정하기 위해 자연스러운 상태에서 평가된 후에 사용할 수도 있다. 대상자는 대부분 습관적으로 편안한 자세에서 검사한다. 긴장감, 근심 또는 불안감으로 환자는 평범한..

자세적 요소 (Postural Factors)흔한 일상적인 자세 문제는 나쁜 습관이다. 이유를 불문하고 환자는 올바른 자세를 유지하지 못한다. 이러한 자세 형태는 주로 장시간 서 있거나 앉아 있는 사람에게서 발견되며 구부정해지기 시작한다.올바른 자세유지는 강하고 유연성 있으며 환경변화에 쉽게 적응할 수 있는 근육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근육들은 중력에 대항하여 지속적으로 수축을 하여야 하고 직립자세를 유지하기 위해 다른 근육들과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 나쁜 자세 습관의 경우, 특히 아동의 경우 같은 또래보다 키가 더 큰 아동에서 나쁜 자세 습관이 나타난다. 만약 어린이가 초기에 빠른 성장기인 경우 "표 나지 않기(stand out)" 위해 구부정한 자세를 취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성장기는 다양한 해부학..

일반적인 척추변형 유형편평한 등 (Flat back)은 등이 편평한 환자로 골반각도 기울기가 20°까지 감소하고 허리뼈(요추, lumbar spine)를 움직이게 된다(그림 라). 일반적으로 짧아지고 강해지는 근육은 넙다리뒤근, 등쪽근육들이 약간 길어지게 되면서 배근육들이 강해질 수도 있다. 엉덩관절폄근, 어깨뒤당김근, 가슴척추세움근이다.둥근 등 (Round Back)은 둥근 등을 가진 환자는 감소된 골반기울기와 흉요추후만증 (thoracolumbar kyphosis)과 함께 길고 둥근 굽이를 가지고 있다. 환자는 종종 몸통이 앞쪽으로 굽혀지며 허리굽이는 감소한다(그림 마). 검사 시 약한 엉덩관절굽힘근과 허리폄근육과 함께 긴장된 엉덩관절 폄근육과 몸통굽힘근(체간굴곡근, trunk flexors)이 나타..

태아가 성장하면서 직립자세를 위한 발달을 알아본다. 성장과정에는 필연적으로 거쳐야하는 신체변화와 바른자세 기준이 있다.성장 발달유아기 경우 내측측궁, (medial longitudinal arch이 제대로 발달하지 않아서 편평발이나 또는 편평하게 보이고, 지방조직이 활아치(arch)에서 발견된다. 아이가 성장 발달함에 따라 지방층은 천천히 그 크기가 감소하고 안쪽활(내측궁, medial arch)이 더 발달하게 된다. 발이 발달하고 근육이 강해지면서 발의 아치(족궁, arch- es of the feet)는 정상적으로 발달하면서 더욱 뚜렷해진다.청소년기 동안, 자세는 사춘기의 시작과 근골격계의 성장과 함께 호르몬의 영향 때문에 변하게 된다. 인간은 두 번의 성장기를 갖는데, 매우 어릴 때와 청소년기 때인..

사람은 직립자세를 할 수 있다. 따라서 손을 자유롭게 쓰고 시야를 멀리 확보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중력에 의해 척추와 무릎에 무게가 증가하고 혈액순환이 상대적으로 힘들다. 유아기의 발달을 통해 성인이 되기전에 필요한 발달 자세와 기능검사를 알아보자.유아기 자세발달신생아의 척추자세는 앞쪽으로 굽혀지거나 오목하다. 출생 시에 흉추와 천추가 굽은 것을 일차 만곡(primary curves)라 한다. 성장함에 따라 3개월이 지나며 머리를 들면서 경추가 앞쪽으로 전만이 되고 요추는 똑바로 앉고 걷기 시작하며 앞으로 굽어지는 전만이 발달한다. 1. 같은 방향 행동(구르기) 같은 방향의 팔과 다리를 뻗어서 밀어낸다(그림 다).2. 반대 방향 행동(기어 다니기) 다른 방향의 팔과 다리를 뻗어서 밀어낸다(그림 라)...

자세란, 생활 속에서 가장 큰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나는 중력의 작용과 같은 외력들에 대항하며 신체의 동작 분절들을 능동적으로 고정하는 개념이다. 자세는 동작에 필요한 가장 큰 요소이다. 동작에 자세는 가장 필요한 주된 요소이다. R. 마그너스는 "자세는 동작에 따르는 그림자"라고 표현이 적절해 보인다. 어떠한 동작이든 수준별로 나누면, 자세를 유도할 수 있는 잠깐의 순간 즉, 고정 단계가 실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음은 자세 기능적인 측면에서 구분하는 세 가지를 설명한다.자세 안정성(Postural Stability)정적 상태에서, 신체는 공간적인 위치에 변화가 거의 없다. 그러나 대부분 모든 정적인 자세(똑 바로 선 자세, 앉은 자세 등)가 동적인 절차들로 이루어진다. 자세를 유지하는 것..